반응형

사업의 세계 146

계속 주식 깡통을 차는 당신을 위해

연속 깡통을 찬 누군가에게 요새 주식 깡통 찬 이가 많은가보다. 나의 블로그 방문자 조회수를 보다 스테디셀러 포스팅을 발견했다. 바로 깡통 후기와 극복 방법을 주제로 쓴 글이다(밑에 해당 글을 첨부해놨다). 오늘은 좀 더 심화된 주제로 넘어가기로 보자. 깡통의 교훈을 잊은 채 계속 깡통을 차는 사람을 위해서 말이다. 이 글을 쓰는 나 내지 미래의 누군가를 위해서. 연속 깡통. 이것만큼 슬픈 일은 없다. 계좌가 0으로 수렴되거나 심지어 빚이 생겼는데도 다시 깡통이라면. 그런데 다들 알다시피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다. 주변에서 말을 안 해서 그렇지 인터넷 게시판을 잠시 눈동냥해도 이런 사례는 무수히 많다. 그러니 너무 슬퍼하지 말자. 슬픔을 나눌 동료가 있으니 말이다. 물론 위로는 안 되겠지만. 당신은 주식 ..

블로그 초보를 위한 현실적인 수익화 방안

생각의 전환요즘 블로깅을 열심히(?) 하게 된 계기가 있다. 블로그를 바라보는 생각을 전환한 게 시작이었다. 일반 개인이 블로그를 개설하고 관리하는 이유는 천차만별이지만 그래도 만족할 만한 수익이 발생한다면 그것만큼 좋은 게 없다. 나 역시 그랬다. 믿거나 말거나 성공 사례를 보며 '혹시 나도'라고 생각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다. 블로그 수익화를 기대하는 개인의 착각 중 하나는 광고를 유일한 수익의 원천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특히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고 운영하는 경우가 그런 고정관념에 빠지는 것 같다. 이런 선입견을 불러오는 이유는 계정 설정에 광고 관리가 유일한 수익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하루 유입량, 전환율 등이 신경쓰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나는 생각을 바꾸..

사업의 기초

사업을 시작하는 누군가에게 사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질문을 던지면서도 우문 아닐까 우려가 든다. 어떤 사업을 하느냐에 따라 답변은 천차만별일 테고 각자 사정에 따라 필요 요소도 달라질 테니까 말이다. 그러나 나는 모든 사업이 어떤 기초로 환원된다고 믿는다. 먼저 염두해야 할 것은 모든 사업은 거래라는 지극히 평범한 사실이다. 시장에 존재하는 이가 유일하다면 그런 시장에서는 애당초 거래가 성립하지 않을 것이다. 사고 파는 거래 당사자가 있어야 한다. 사는 이가 있어야 하고 파는 이가 있어야 한다. 이때 상품을 팔고 구매하는 관계뿐만이 아니라 더 넓게는 일을 도와주고 요청하는 관계를 포함한다. 관계와 소개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는 관계다. 이를 다른 말로 풀자면 인맥이라고 부를 것이다. 그..

어떤 컴플레인 처리법

사람이 싫어지는 이유 '사람이 싫다.' 한 선배에게 문득 전화가 왔다. 그리고 대뜸 통화 도중 말한 말이다. 수십 명의 직원을 내보내고 사업체를 정리했다는 그의 말 끝에는 항상 저 소리가 따라 다녔다. 그리고 수많은 욕설을 달고서 말이다. 그의 말이 맞다. 그 선배 말처럼 사람만큼 미운 존재가 있을까 싶다. 그러나 우리는 돈을 벌어야 하고 따라서 사람을 상대해야 한다. 완벽한 상품은 없다 작은 사업을 하건 큰 사업을 하건 컴플레인이 없는 일은 없다. 남의 돈 벌기가 쉽지 않고, 심지어 힘들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일단 시작은 마음을 편히 갖자. 앞서 내가 말했듯이 상품이 좋아도 볼멘 소리를 하는 인간들은 항상 있기 마련이다. 그들을 욕할 필요는 없다. 나도 때로는 그러니까. 보통 인간은 반응의 동물이다..

창작자를 위한 플랫폼 가이드

중요한 것은 독자다 플랫폼의 독자를 찾아서.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는 단 하나다. 바로 거기 독자가 있어서다. 여러분이 어떤 플랫폼이든 이용하고자 마음먹은다면 그 이유는 나의 글을, 나의 그림을 봐 줄 누군가가 거기 있기 때문이다. 혹시 그런 독자가 없다면 어떤 플랫폼도 사용할 이유가 없다. 허나 모든 플랫폼이 그 후보는 아니다. 설령 독자가 있다고 해서. 이때부터 고민이 시작된다. 도대체 어떤 플랫폼을 골라야 한다는 말인가. 보통 많은 작가 지망생(?) 내지 작가는 플랫폼 이해가 전혀 없다. 그렇기에 일단 남들 해보는 인기 창작 플랫폼을 기웃기웃거리기 마련이다. 친구 따라 강남 가는 격이다. 어떤 창작 플랫폼을 선택하나 월간 활성화 사용자수(Monthly Active Users)는 플랫폼 선택의 좋은 ..

얼마나 벌어야 부자일까?

30억 빚쟁이 VS. 30억 자산가 ∙ '30억 빚쟁이 이둥욱 VS. 30억 자산가 전현무', 둘 중 누구를 선택할까. 대부분 사람은 후자를 골랐을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같은 프로그램에 출연한 연기자 김수미가 저 질문을 오해한데서 출발했다. 전현무의 재산이 30억인줄 착각하고 고작 그것밖에 못 벌었냐고 타박을 한 것이다. ∙ 실제로 전현무의 재산이 얼마인지 그리고 연봉이 어느 정도인지, 본인이 확인해주지 않는 한 알 수가 없다. 다만, 재빠르게 구글링을 해보니 프로그램, 광고, 행사 등을 종합하면 연봉이 30~40억 정도된다고 추정된단다. 물론 말 그대로 추정이다! 더 벌지 아닐지는 당사자, 세무 당국 등 외에는 아무도 모른다. 얼마를 벌어야 부자인가? ∙ 약간은 해프닝같은 뉴스를 보면서 문득 그런 질..

그들은 나를 모른다

기대와 흥분 ∙ 사업자등록증을 신고하고 받았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누군가에게 얽매이지 않고 나의 일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이었을까. 그때는 약간의 설렘이 있었다. 그러나 그 흥분도 잠시, 곧 고난의 시간이 왔다. 처음 기획한 대로 사업은 굴러가지 않았고 호기롭게 출발한 일은 좌초되기 일수였다. 그것이 나의 문제였는지 외부의 원인 때문이었는지는 솔직히 모르겠다. ∙ 지금도 나는 여전히 개인 사업자다. 애초 회사를 키울 포부는 전혀(?) 없었으니 그때나 지금이나 나 혼자 모든 것을 담당하는 개인 사업자로 남았다. 그런데 지금도 나의 사정은 딱히 나아지지 않았다. 오히려 더 나빠졌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런 일의 배경에는 내가 학업(대학원)을 병행했던 이유도 있고 애초 기획한 대로 일이 굴러가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