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548

기획서 강의: 기획은 과정이다

누구나 기획을 한다. 그러나 누구나 기획서를 잘 쓰는 것은 아니다. 결국 기획서는 독자인 상사를 논리적으로 설득해야 하는 문제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좋은 기획이 훌륭한 기획서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올바른' 과정을 거쳐야 한다. 좋은 기획이란 단계를 충실히 밟을 때 실현 가능성이 커진다. 오늘 강의는 남쪽 끝 여수에서 있었다. 올해는 여수와 몇 번의 인연이 닿는 것 같다. 그 덕분에 가는 길은 멀어도 마음은 가깝게 느껴진다. 2시간의 짧은 강의에서 내가 전달한 요점은 단순했다. '기획이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기획서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적은 문서이다.' 누누이 강조한 것은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서 기획을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막연한 기획이 나오는 이유는 이 '고객의 문제'를 구체..

일을 잘 한다고 평가를 받으려면

기본으로 돌아가자. 모든 일이 마찬가지다. 기본을 지키지 않으면 더 이상의 평가가 무의미하다. 기초적인 일도 수행하지 못하는데 그 다음이 무슨 소용이겠는가. 일을 할 때 기본은 뭔가? 일의 기본은 시간 엄수다. 이외로 많은 이들이 약속을 어긴다. 바로 마감 시간을 지키지 못하는 것이다. 제때 일을 완수하는 것이야말로 기본이다. 지난 주 강의를 섭외한 곳에서 전화가 걸려왔다. 지방의 모기관이었는데 강의록을 '오늘'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당황스러웠다. 며칠 전 통화를 할 때 전혀 언급이 없었던 내용이었다. 다음 주 강의 날짜에 맞춰 준비하려던 계획이 어긋나는 순간이었다. 일단 당일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사안인지 묻고 며칠간 유예를 요청했다. 다행히 약간의 시간을 확보하고 주말 내내 강의 준비에 매달렸다. 물..

대중 강연을 할 때 기억해야 할 것

강연, 처음과 끝은 청자다.청자를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해 청자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끝난다. 그런데 문제는 청자를 상상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렇기에 '상상하라'라는 요구로는 부족하다.어떻게 해야 할까? 직접 경험해봐라. 단순히 상상의 나래로 펼치는 청자 분석은 실패하기 마련이다. 내가 겪어 보지 못한 다양한 청중이 있기 마련이다. 그렇기에 혹시라도 대중 강연을 잘 하고 싶다면 많이 경험해보라 말하고 싶다.혹자는 이 경험을 과연 어떻게 잡을 것인가라고 되물을 것이다. 강연을 제안받지 못한다면, 무료라도 강연을 한번 개최해보라 말하고 싶다. 시간을 정하고 장소를 섭외해 사람을 모집하라. 혹시라도 무료 강연이 부담스럽다면, 약간의 비용을 받고 대중과 접할 기회를 마련하라.물론 나도 처음부터 그런 생..

기획이 떠오르지 않을 때

오랜만에 글을 쓰려니 손이 나가지 않는다.이제 익숙해질 때도 됐건만 며칠째 이 지경이다. 어떻게든 글을 써야 하는데 쓰고 지우고를 반복했다. 평소 나답지 않은 모습이다.이유는 딱 하나, 이름을 걸고 써야 하기 때문이다. 이곳 블로그에 글을 쓸 때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나는 블로그에 글을 쓸 때 주저하지 않는다. 그냥 몇 가지 착상만 가지고 글을 써나간다. 언제나 이유는 하나, 잘 쓸 필요가 없다!목적과 문제, 그리고 결론 정도만 정하고 일필휘지로 써나간다. 누가 볼 일 없다는 생각도 여기에 한몫한다. 일단 쓴다는 평소 소신을 실천한다. 그런데 문제는 새롭게 글을 써야하는 플랫폼이 실명을 공개한 장소라는 것이다. 그래서 앞서 얘기했듯 '이름을 건다'는 표현을 한 이유다.그런데 그게 글쓰기 장애물로 다가올..

도서관 강의: 독서는 놀이다

강의는 만남이다.때로는 설레고 어떨 때는 긴장되고 심지어 흥분되기도 한다. 이번 주 강의는 강북정보도서관에서 개최된 시니어 독서 강좌다. 한 달에 한 번 총 8회 강좌가 예정돼 있다. 강좌명을 정할 때 특별한 생각은 없었다. 다만 확 눈길을 끄는 제목을 만들고 싶었다. '독서는 놀이다'라는 강좌명을 짓고 보니 프로그램 목적에 잘 맞는다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첫 책은 놀이하는 인간인 '호모 루덴스'이 아니던가. 다만 요한 호이징하의 책 를 직접 읽는 것은 아니고, 이 책을 해제한 노명우 선생의 를 읽는다. 독서 토론이란 강좌 목표에 맞게 참여자의 발언이 중요하다. 다행히(?) 첫 수업은 무난하게 진행된 듯 하다. 물론 어떤 이는 어렵다는 후일담을 남겼는데 어떻게 난도를 조절할지 생각해 볼 일이다. 그나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