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울증 5

🐽 꿀꿀함에 대처하는 나의 자세

약간의 우울은 병이 아니다, 그러나 요 몇 주 열의가 없는 날들을 보내고 있었다. 내게 그 징후는 긴 수면으로 나타났다.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하고 30분 내지 그 이상을 미적거리다 기상하기 일수였다. 맞다! 그 분이 오신 거다. 우울이라는 반갑지 않은 친구가. 이 지인이 잊을 만 하면 찾아오니 친숙할 때가 됐건만 나이가 들어도 전혀 반갑지 않다. 주기적인 방문도 방문이련만 갱년기라는 반갑지 않은 시간을 내가 맞고 있어 더 걱정이 됐다. '갱년기', 이 단어를 쓰는 게 전혀 어색하지 않은 나이가 돼버렸다. 그래도 평정심을 찾으려고 애썼지만 뜻 대로 되지 않았다. 할 수 있는 건 애써 태연한 척 하는 것뿐. 왜 중요한가 약간의 우울은 삶에 긴장을 주니 걱정거리가 아니다. 허나 깊은 우울은 삶을 파괴하니 정..

우울의 언어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지닌 언어적 특성이 있다고 한다. 처음에 그 얘기를 들었을 때 단순히 그 특성이 부정의 언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그저 '살고 싶지 않다'와 같은 그런 종류의 말이라고 지레 짐작한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에 따르면 우울증의 언어가 갖는 두드러진 특성 가운데 하나는 주어 '나'의 빈번한 사용이라고 한다. 실제로 우울증을 앓다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람의 유서를 보면 이 '나'라는 주어 사용이 빈번하다고 한다. 다른 언어적 특성보다도 이 단어의 사용이 우울증을 변별하는 특성이 된다고 전문가는 전한다. 그러고 보면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온통 관심사가 타인이나 외부 세상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다. 스스로 병들고 아프기에 남을 신경쓸 여력이 없는 것이다. 우울증 환자의 심리 상..

혼자 사는 사람이 해야 할 실천

나이가 들수록 혼자 잘 살기 위해서 해야 할 일들을 되새겨 보곤 한다. 단순히 경제적 문제만이 아니다. 나는 오히려 경제적 문제로 모든 것을 환원하는 태도를 경계한다.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 좋다는 생각은 홀로 사는 삶을 더 빈곤하게 만든다. 그렇다고 경제적 안정이 중요치 않다는 생각은 아니다. 모든지 균형이 중요한 법이다. 적절한 부는 삶에 윤택을 주지만 과도한 부의 집착은 모든 것을 희생시켜 버리니 말이다. 혼자 살 때 가장 중요한 가치는 뭐니뭐니해도 자신을 지키는 것이다. 건강한 삶은 정신적∙육체적 자신을 지키는 삶이라고 본다. 특히 나는 정신적 건강을 위하여 육체적 단련을 중요시하는 사람이다. 요즘에도 나는 일주일에 3~4일 정도는 체육관을 방문해 땀 흘려 운동을 한다. 그리고 체육관을 가지 않는 ..

코로나 블루의 시대

사람과 만나는 일을 피하는 요즘이다. 코로나바이러스19탓에 밀폐된 공간에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일 자체도 꺼려진다. 전염병이 한창 유행하는데 되도록 만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자신을 위해서, 그리고 상대를 위해서 요즘 예의(?)다. 이런 갑작스런 생활의 변화가 딱히 나에게는 정신적 충격을 주지는 못한다. 그 이전에도 생활 반경이 한정되었고 공부를 한다는 이유로 최소한의 만남을 유지한 생활도 영향을 끼쳤던 탓이다. 그러나 누군가에게는 이런 사태가 달갑지 않은 듯 하다.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도 많아진다고 하고, 자살율도 높아진다고 하니까 말이다. 소위 코로나 블루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 우울증이나 자살율이 사회적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어떤 사람은 민감하게 반응하고..

원고지/낙서장 2021.04.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