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지션 사이즈 2

다시 깡통?

누군가 내 근황을 물어본다면? 연구자라고 답하겠다. 그리고 뭘 주로 연구하냐고 재차 묻는다면 '트레이딩'을 공부한다고 말하겠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불확실성', '결단', '가격 패턴' 등을 고민한다고 곁들이겠다. 틀린 말은 아니나 누군가의 눈에는 이상한 답변처럼 들리리라. 요새 다시 데이 트레이딩을 한다. 지난 1년간 강제 휴업중이었던 사업(?)이다. 휴업의 이유는 다른 게 아니라 깡통이라는 처참한 결과였다. 물론 빚이 생긴 악성 깡통은 아니니 걱정하지 말길. 그저 잃을 만큼 잃고 쉬었다. 그러나 공부를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트레이딩만 쉬었다 뿐이지 공부는 꾸준히 했다. 그리고 이 정도면 됐다 싶을 때 다시 트레이딩을 시작했다. 그 사이 참으로 여러번 '아하!'하는 깨달음의 순간이 있었다. '유레..

요요 트레이더 탈출법

언젠가 스스로 요요 트레이더라는 사실을 고백한 적이 있다. 꾸준한 수익보다는 수익과 손실을 요요처럼 왔다갔다하는 처지를 빗댄 말이었다. 개인 트레이더가 생존형 트레이더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 같다. 스스로 문제를 진단한 결과, 나의 우선적인 처방은 매매 횟수를 현격하게 줄이는 것이었다. 스캘퍼를 포기하고 한두 종목에 한정해 수익을 추구하는 데이 트레이더로 변모였다. 매매를 많이 하는 것이 아니라 매매를 잘 하는 것을 목표로 삼자 심리를 잘 조절하게 되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매매의 성공은 리스크 관리가 전부인 것 같다. 물론 이 리스크 관리는 앞서 언급한 심리뿐만 아니라 방법과 연결되어있으니 실전에서 이 셋을 구별하기는 힘들다. 그럼에도 리스크 관리를 잘 하면 자연스럽게 심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