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와 글쓰기/글쓰기

온라인 글쓰기의 진실

공부를 합시다 2024. 1. 1. 09:00
반응형

온라인 글쓰기의 현실

오늘은 온라인 글쓰기의 현실을 공개하고 싶다.
웹상에서 글로 뭐를 해보려고 하는 사람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원리를 말하고 싶다. 어떤 플랫폼을 이용하든 지금 여기 글쓰기 환경에서 적용할 만한 내용이다.


온라인에서는 글을 잘 써야 팔리나? 다른 말로 하자면  글을 잘 썼기 때문에 호응을 얻나?
 

이 질문에 '예'라고 대답한다면 당신은 잘못된 관점을 고수하고 있다.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도 마찬가지다. 잘 써서 글로 먹고 사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일단 이 둘의 인과 고리를 끊어라.


전혀 상관 없지는 않겠지만 팔리는 글은 그렇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자신의 공고한 신념을 버리는 결단이야말로 변화의 시작이다.

 
진실은 잘 알려져야 팔린다는 것이다!

 
첫 번째 원칙을 가슴 깊이 새겨라.


글을 잘 쓰려는 노력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더 중요한 것은 독자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나의 글을 읽어줄 심지어 사줄 독자를 발견해야 한다.


그러니 온라인 글쓰기의 첫 번째 과제는 글을 어떻게 알릴까 고민하는 것이다.


커뮤니티를 찾아라

자칫 잘못하면 온라인 글쓰기는 시지프스의 돌마냥 고독한 작업에 그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쓰고, 쓰고, 또 쓰는데도 전혀 결과를 산출하지 않은 일말이다. 당신의 글은 절대 그런 대접을 받아서는 안 된다. 한 편의 글을 작성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 비용을 쏟아 부었는데 결과가 없다면 잘못이다.


어떤 독자도 발견하지 못한다면 지금까지의 마중물은 아무 소용이 없게 된다.


 
쓰는 것 자체에 의미를 부여해선 안 된다.


잘 쓰고 잘 읽혀야 한다. 그러기 위해 당신의 글을 읽어줄 커뮤니티를 찾아야 한다. 이것이 둘째 원칙이다.


그런 점에서 블로그와 같은 글쓰기 플랫폼은 초보에게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누구도 당신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검색팔이(?)를 해볼 요량으로 글을 쓴다면 그 작업은 장기적인 과제로 돌려라.


블로그는 적합한 장소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반응이다.


그러니 커뮤니티를 적극 찾아라. 자신의 글을 읽어줄 독자를 상상하라. 모든 글은 독자를 지닌다.
독자 없는 글, 그런 종류의 글은 그저 독백일 뿐이다. 온라인에서 글로 먹고 살려면 절대 독백을 해서는 안 된다. 나의 글에 반응해줄 사람을 찾아 대화를 하라.


피드백을 줄 만한 사람을 찾아야 한다.


글뿐만 아니라 말을 팔아라

이쯤에서 여러분은 온라인 글쓰기의 생리를 파악했을 것이다.


생계를 위한 글쓰기는 노동이다. 문필 노동자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니 직장에서 따박따박 돈 받는 게 차라리 쉽다. 그러나 여전히 글로 뭘 해보려거든 수익을 창출할 만한 채널을 이용하거나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글 자체를 파는 것을 넘어서 글을 매개로 말을 파는 것을 포함한다.

 
글을 파는 일는 쉽지 않다.


차라리 글과 연관된 다른 것을 파는 게 쉽다. 자신이 관심 갖고 있는 주제로 글을 쓰고 파는 것도 훌륭하지만 다른 사람의 글을 대행하는 것도 훌륭한 일이다. 그런 종류의 일이 첨삭이든 교정이든 대필이든 말이다. 이런 종류의 글은 일종의 마케팅에 활용되는 글이다.


일감을 줄 만한 글을 기획하고 팔아라.

 
여기에 덧붙여 말을 팔아보라 권하고 싶다.


어떻게 써야 할지 노하우를 알려줘라. 오히려 일회적인 관계에 그리치고 마는 글을 파는 것보다 교육을 하는 게 더 돈이 된다. 물론 글을 연재한다면 그것만큼 좋은 일은 없다.


연속적인 글을 작성하여 얻는 인지도를 바탕으로 다른 부가적인 활동을 실천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쓴다.


아마도 인간종이 사라지기 전까지 쓰는 활동은 사라지지 않을 테다. 그러니 글쓰기 시장은 과거에도 있었고 미래에도 있을 것이다. 다만 소비하는 방식이 달라졌을 뿐이다.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사람만이 글로 먹고 살 수 있다.
 

반응형